21. (A)~(C)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The Inchcape Rock is a great rock in the North Sea. Most of the time it is covered with water. That causes many boats and ships (A) crash / to crash onto the rock. The rock is so close to the top of the water that all the vessels that try to sail over it (B) hit / hits it. More than a hundred years ago, a kind-hearted man lived nearby. He thought that it was tragic for so many sailors to die on that hidden rock. So he fastened a floating mark to the rock with a strong chain, on top of (C) it / which a bell was attached. When ships came near, the waves made the mark float back and forth and the bell ring clearly. Now, sailors were no longer afraid to cross the sea there. [3점]
① | crash | …… | hit | …… | which |
② | crash | …… | hits | …… | it |
③ | to crash | …… | hit | …… | it |
④ | to crash | …… | hits | …… | it |
⑤ | to crash | …… | hit | …… | which |
The Inchcape Rock is a great rock in the North Sea. Most of the time it is covered with water.
대문자로 시작을 하네요. 고유명사죠. 대충 발음해 줍니다. '잉치카페 바위'는 북해에 있는 아주 거대한 바위이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로 덮혀 있다고 합니다.
That causes many boats and ships (A) crash / to crash onto the rock.
cause A to B 표현을 알고 있는지 묻고 있네요. 이 표현을 모르더라도 목적보어 자리에 원형부정사를 쓰는 동사는 몇 개로 한정되어 있으니 여기서는 to부정사가 쓰여야 함을 알아차려야 겠습니다. 'A가 B하도록 야기하다, A가 B하는 것의 원인이 되다'라는 뜻입니다.
That은 내용을 보건대 앞 문장의 내용을 가리키네요.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로 덮혀있다는 그 사실이 많은 보트와 배들이 그 바위에 충돌하는 것의 원인이 됩니다. 어렵지 않죠? 앞 문장의 be covered with는 여기서는 '덮혀 있다' 정도가 아니라 '아예 푹 잠겨 있다' 쪽으로 보는 것이 더 좋겠네요. 엄청 큰 바위가 물에 잠겨서 잘 보이지 않으니 배들이 가다가 거기에 꼴아 박는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The rock is so close to the top of the water that all the vessels that try to sail over it (B) hit / hits it.
아, 이 문장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crash에 대한 상황이 설명되네요. 전체적으로는 so... that 구문이죠. 바위가 너무나도 물 꼭대기 가까이에 있어서 그 위를 지나가려 하는 모든 배들은 그것(it=잉치카페 바위)에 부딪힌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주어가 (all the) vessels죠. 복수이므로 vessels를 받는 동사 hit은 그냥 hit이 되어야 합니다. that try to sail over it은 vessels를 꾸며주는 관계사절입니다. '그 위(바위) 위를 지나가려 애쓰는 배들'이 되겠습니다. 문제 출제의 의도는 hit/hits의 바로 앞에 있는 it에 속느냐, 속지 않느냐를 묻는데 있습니다. 무슨 얘기인지 이해 되시죠?
More than a hundred years ago, a kind-hearted man lived nearby. He thought that it was tragic for so many sailors to die on that hidden rock.
자, 얘기가 과연 어떻게 풀릴까 하고 궁금해 하고 있었는데 드디어 전환점이 마련이 되는군요.
100년도 더 전에 친절한 마음씨의 남자가 (바위) 근처에 살고 있었는데 그는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그 감춰진 바위로 인해 죽는다는 것이 비극적이라고 말이죠. 두번째 문장은 전형적인 it... for... to 구문이네요. 문법서에서 부정사 파트 보시면 무조건 있는 내용이니 잘 모르시면 꼭 찾아보세요.
So he fastened a floating mark to the rock with a strong chain, on top of (C) it / which a bell was attached.
이건 문제가 되게 좋죠. 문제를 내기 위해 별 의미도 없이 억지로 만드는 문제들에 비하면 훨씬 더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선, 영어에서 두 개의 절이 어떻게 이어지는지 알아야 겠습니다.
I am a boy, you are a girl.
이 문장은 맞는 문장일까요?
영어에서는 틀린 문장입니다. 영어는 두 개의 절을 연결할 때 반드시 '접속사'가 끼어 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I am a boy and you are a girl.'이나 'I am a boy but you are a girl.'과 같이 바뀌거나, 또는 억지스런 상황을 가정해야 하지만 'Because I am a boy, you are a girl.' 등과 같이 접속사가 들어가 두 개의 절의 '관계'를 맺어줘야 하는 것이죠. 또는 접속사를 안쓰고 두 문장을 아예 따로 'I am a boy. You are a girl.'로 마침표로 구분해 주던가요. 이해가 되나요? 나중에 writing이 강조되는 시험을 볼 때에도 이 내용은 꼭 기억을 하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어쨌든 이 관점에서 볼 때 주어진 so he fastened... 문장은 비문이 됩니다. so... chain까지의 절과 on...attached의 절이 접속사 없이 달랑 콤마로만 연결되었으니까요. 그럼 어떻게 해야 비문이 아닌 올바른 문장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여기서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용법을 떠올리셔야 합니다. 계속적 용법으로 쓰인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I realized he had lied to me all the while, which made me upset. 콤마 앞 문장 내용 전체를 which로 받은 것이죠. '그가 그동안 내내 나에게 거짓말을 해왔다는 사실, 바로 그것이 나를 기분 나쁘게 만들었다'는 내용입니다. 올바른 문장입니다.
또는 'The man who killed the cat is James, who is my close friend.' 여기서는 콤마 뒤에 나오는 who가 James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죠. 역시 올바른 문장입니다. 이렇게 콤마 뒤에 나오는 which나 who의 쓰임을 가리켜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비제한적 용법 = 비한정적 용법) 이라고 합니다. 추가적인 정보라 함은 앞에 나온 명사 (선행사)의 범위를 좁혀주려고 쓰는 게 아니라는 뜻입니다. (더 나아가, 이 부분을 빼더라도 문장의 의미 전달에는 지장이 없다는 뜻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이야기 하기로 하죠. 실제로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표현이니까 이게 무슨 용법이다는 것은 모르더라도 그 패턴만큼은 눈에 익혀두셔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which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냥 it으로 해버리면 해석은 되지만 영어 문장 자체로서는 비문이 된다는 것이죠. (접속사 없이 두 문장을 콤마로 이었기 때문에) 하지만 which일 경우, 이 문장은 'So he fastened a floating mark to the rock with a strong chain, on top of which a bell was attached.' 가 되고, 또는 '접속사 + 명사'의 관점으로 바꿔 보면, 'So he fastened a floating mark to the rock with a strong chain, and on top of it a bell was attached.'가 되는 겁니다. 이해 되나요? 두 개의 문장이 모두 옳은 문장입니다.
잘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콤마를 달고 나오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은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접속사를 대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
해석은 어렵지 않네요. 그래서 그 아저씨는 바위에 둥둥 뜬 마크를 옭아 매고, 그 위에 종을 부착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 배들이 지날 때면 그 마크가 떠오르면서 종이 딸랑딸랑 울리겠죠. 그럼 이제 뱃사람들은 '아, 여기에 바위가 있구나'하고 알아차리게 될 겁니다.
복습 잘 해보시기 바랍니다.
하나 더 말씀 드리자면, 'So he fastened a floating mark to the rock with a strong chain, on top of which was attached a bell.'하면 어떨까요. 맨 뒤에서 a bell was attached가 was attached a bell로 주어, 동사 도치가 되었습니다. 이것도 맞는 문장입니다. 'on top of which' 이 자체가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가 되면서 (그것의 위에) 도치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죠. 실제로 이와 같은 문형이 수능에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2012년에 어법으로 출제됐습니다. 2013년에도 유사한 문제가 출제되었고요. 잘 봐두시면 좋겠습니다.
2012년 21번 어법) One company developed what it called a ‘technology shelf,’ created by a small group of engineers, on which ① was placed possible technical solutions that other teams might use in the future.
'고1 학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1 학평] 2020년 9월 29번 어법 (0) | 2021.06.24 |
---|---|
[고1 학평] 2020년 11월 29번 어법 (0) | 2021.06.22 |
[고1 학평] 2021년 3월 29번 어법 (0) | 2021.06.22 |
[고1 학평] 2021년 6월 29번 어법 (0) | 2021.06.16 |
[고1 학평] 2017년 3월 28번 어법 (0) | 202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