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학평

[고3 학평] 2021년 3월 29번 어법

softmachine 2021. 7. 15. 23:21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The formats and frequencies of traditional trade encompass a spectrum. At the simplest level ①are the occasional trips made by individual !Kung and Dani to visit their individual trading partners in other bands or villages. ②Suggestive of our openair markets and flea markets were the occasional markets at which Sio villagers living on the coast of northeast New Guinea met New Guineans from inland villages. Up to a few dozen people from each side ③sat down in rows facing each other. An inlander pushed forward a net bag containing between 10 and 35 pounds of taro and sweet potatoes, and the Sio villager sitting opposite responded by offering a number of pots and coconuts ④judging equivalent in value to the bag of food. Trobriand Island canoe traders conducted similar markets on the islands ⑤that they visited, exchanging utilitarian goods (food, pots, and bowls) by barter, at the same time as they and their individual trade partners gave each other reciprocated gifts of luxury items (shell necklaces and armbands).

*taro: (식물) 타로토란 **reciprocate: 답례하다

글이 좀 ㅎㅎ 도치문장도 많고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도 많아서 읽는데 계속 턱턱 걸리네요. 실제 답을 찾는 건 어렵지 않은 문제인데 지문이 친절하지 않네요. 그런데 지레 '어려운 문제다'하고 판정을 미리 내려버리면 찾을 답도 못 찾게 돼요. 정신줄을 잡고 있는 것도 실력입니다.

1, 2 The formats and frequencies of traditional trade encompass a spectrum. At the simplest level ①are the occasional trips made by individual !Kung and Dani to visit their individual trading partners in other bands or villages.

일단 첫 문장에서 제일눈여겨 볼 부분은 traditional trade겠죠. '전통적인 거래' 이 단어만 보고 '물물교환'을 떠올리는 것도 실력입니다. 물물교환이라는 단어가 내 머릿 속에 들어올 수 있으면 이 다음에 여러 어려운 표현이나 단어들이 나와도 물물교환이라는 틀에 맞춰서 적당히 해석을 할 수가 있어요. 지문의 전체적인 방향을 그쪽으로 끌고 가는 거죠. 물론 끌고 간다는 건 내 예측이 맞았다는 걸 전제로 합니다.

해석은 정확히 하는 게 당연히 좋지만 수능 보러 가서 모든 문장을 정확히 해석해서 (시간 안에) 푸는 건 진짜 어려운 일입니다. 공부할 때는 정확함을 목표로 하되, 시험장에서는 느슨하게 해석해도 헛다리를 짚지 않을 정도의 실력을 길러야 해요. 이제 EBS 연계 출제도 없어졌는데요, 이 상황에서 지문이 만약 예년 수준으로 나오면 시간 내에 다 푸는 거 자체가 어려울 겁니다. 특히 빈칸 문제의 경우, 자신있게 '나 이거 맞았다'는 생각 거의 안 들 겁니다. 1등급 비율이 상대평가 때보다 더 낮아질 수도 있어요. 아마 출제하는 분들이 지문 난도나 선지의 난도 (지문이 쉬워도 선지를 어렵게 낼 수 있습니다)를 좀 내려주지 않을까 싶지만 어쨌든 시간 내에 푸는 것 자체가 하나의 큰 고비가 될 겁니다. 절대평가라는 것을 너무 낙관적으로 보지 않으셔야 할 거 같습니다.

encompass는 ~을 둘러싸다, 포함하다, 망라하다의 뜻을 지닌단어입니다. 목적어로 a spectrum이 왔는데 개인적으로는 a broad spectrum이라든가, a wide spectrum, a huge spectrum 처럼 표현해 주는 게 더 좋지 않았을까 해요. 아니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의 스펙트럼'이라는 식으로 좀 더 의미를 보태주던가요. encompass a spectrum하고 끝나면 좀 바보 같지 않나요? -_- 뭐 그냥 제 의견입니다. 적어도 encompass a spectrum 이 자체로 굳어진 표현은 아닌 거 같아요. 어쨌든 여기서는 '모든 스펙트럼을 망라한다',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난다' 정도의 의미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부사구 at the simplest level하고 동사 are가 나왔으니 이건 도치죠. 주어가 trips, 복수니까 are는 제대로 쓰였습니다. 수동태 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들 때처럼 be동사만 앞으로 나갑니다. made는 그대로 있고요. 문법책에서 도치 파트 꼭 공부해 보세요. 우리가 글쓰기나 말하기를 할 때 도치문을 직접 만드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지만 독해를 할 때 만큼은 어색함 없이 읽을 정도가 돼야 합니다.

 

그리고 이 문장은 느낌표(!)로 끝나는 문장이 아닙니다. 한 문장을 일단락 짓는 느낌표라면 느낌표랑 다음 단어 Kung 사이에 빈칸이 하나 있어야 되는데 여기서는 빈칸없이 !Kung 이렇게 돼있죠. Kung부터 문장 끝까지 서술어가 없다는 점으로 봐도 Kung이하가 단독으로 쓰인 문장이 아닌 걸 알 수 있겠고요. 

 

3. ②Suggestive of our openair markets and flea markets were the occasional markets at which Sio villagers living on the coast of northeast New Guinea met New Guineans from inland villages.

 

여기서는 문두에 형용사가 왔죠. 도치입니다. 주어 자리에 올 수 없는 게 왔으니까 도치죠. 'The occasional markets at which Sio villagers living on the coast of northeast New Guinea met New Guineans from inland villages were suggestive of our openair markets and flea markets.' 이게 일반적인 어순의 문장입니다. 주어가 너무 기니까 뒤로 돌리려고 한 도치인 것 같습니다. 영어에서는 주어가 긴 걸 안 좋아합니다. 여기서 at which는 where로 바꿔도 되죠. '때때로 열리는 시장 (the occasional market)'을 꾸며주는 형용사절이 at which/where부터 해서 길게 나와있는 겁니다. '북동 뉴기니아의 해안가에 사는 시오족 주민들이 내륙 마을에서 온 뉴기니아 사람들을 만났던', '때때로 열리는 시장'은 '우리의 야외 시장이나 벼룩 시장을 연상시켰다' suggestive of...는 '...을 연상시키다'라는 뜻입니다. 

 

4. Up to a few dozen people from each side ③sat down in rows facing each other. An inlander pushed forward a net bag containing between 10 and 35 pounds of taro and sweet potatoes, and the Sio villager sitting opposite responded by offering a number of pots and coconuts ④judging equivalent in value to the bag of food. 

 

up to하고 시작이 되어서 왠지 부사구 같은 냄새를 풍기지만 이건 단수히 어떤 숫자가 '최대 ~ 까지의' 이런 의미죠. 장소나 위치의 의미로 '위에'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도치 문장이 아닙니다. dozen은 12을 의미하는데 a few dozen하면 그 dozen이 2, 3, 4개 정도, 그러니까 대략 24, 36, 48 이 정도를 가리킵니다. 각각의 지역에서 온 최대 3, 40명 정도 되는 사람들이 서로를 마주보고 줄지어 앉는데요. 3번은 뭐 맞죠. 딱히 뭘 묻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물교환하는 장면이 묘사가 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 한쪽이 이런저런 물건을 내놓으면 다른 쪽에서 그 물건과 동등하다고 '판단되는' pots와 coconut을 제시하는 식으로 반응하는 거죠. 4번의 judging은 이게 맞다면 pots and coconut which judge equivalent.... 이렇게 된다는 얘긴데 단지와 코코넛이 뭘 판단한다는 건 말이 안되죠. 판단하다, judge의 목적어로 '무엇을' 판단한다는지 정보가 없는 것도 이상하고요. 그래서 이게 틀렸고 맞는 건 현재분사를 과거분사로 바꿔주면 되겠습니다. pots andcoconut judged equivalent... 하면 pots and coconut which were judged equivalent...가 되어서 깔끔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가 같이 사라지면서 분사가 명사 뒤로 바로 달라붙는 것입니다. 아 내용은 단순히 어법 문제 하나 맞추고 못 맞추고를 떠나서 영어 문장을 이해하는 데 아주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것입니다. 꼭 이해하고 넘어가셔야 해요. 

 

5. Trobriand Island canoe traders conducted similar markets on the islands ⑤that they visited, exchanging utilitarian goods (food, pots, and bowls) by barter, at the same time as they and their individual trade partners gave each other reciprocated gifts of luxury items (shell necklaces and armbands). 

 

여기서의 that은 where로 바꿔쓸 수도 있고 생략을 해도 되는 그런 that이네요. 관계부사 where가 that으로 바뀌기도 하고 생략되기도 하는 형태입니다. 문장 내용은 앞의 내용과 비슷하게 서로 물물교환을 했다는 게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