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학평] 2021년 6월 29번 어법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While working as a research fellow at Harvard, B. F. Skinner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on rats, using an invention that later became known as a “Skinner box.” A rat was placed in one of these boxes, ① which had a special bar fitted on the inside. Every time the rat pressed this bar, it was presented with food. The rate of bar‑pressing was ② automatically recorded. Initially, the rat might press the bar accidentally, or simply out of curiosity, and as a consequence ③ receive some food. Over time, the rat learned that food appeared whenever the bar was pressed, and began to press ④ it purposefully in order to be fed. Comparing results from rats ⑤ gives the “positive reinforcement” of food for their bar‑pressing behavior with those that were not, or were presented with food at different rates, it became clear that when food appeared as a consequence of the rat’s actions, this influenced its future behavior.
1번은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에 대해 묻고 있네요. 해석은 그냥 컴마 앞에서 끊고 한 호흡 쉬면 됩니다. '쥐 한마리가 그 상자들 중의 하나에 놓여졌는데, 그것은 안에 설치된 특별한 막대기를 하나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 그것 (which)이 가리키는 것은 one이 되겠죠. 스키너가 고안한 여러가지 box들 중에서 안에 막대기가 달린 어떤 하나라고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굳이 계속적용법으로 할 이유가 마땅히 없습니다. 컴마 없이 그냥 한정적 용법으로 'one of these boxes which had a...' 했어도 의미에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which 관계사절이 걸리는 게 one인지, these boxes인지 덜 명확해지지만 그게 크게 중요한 상황은 아니니까요. which에 대한 공포심만 없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고, 사실 출제 의도가 잘 파악되지 않는 선지입니다. (시나리오를 그려보자면) 만약에 that이나 in which 이렇게 나와 있었다면 그건 틀린 거죠. 관계대명사의 계속적용법으로는 that이 쓰이질 않고요, in which라면 그 다음에 주어가 나와야 하는데 주어 없이 had가 나오게 되니까 틀린 문장입니다.
2번은 '자동으로 녹음되었다'니까 부사 automatically가 맞고요. 별 시덥지 않은 선지네요. 그 다음 문장은 조동사 might를 봐야 겠습니다. '추측'을 나타내죠. 사실, 과정이 다 공개된 실험이기 때문에 단순 과거로 해서 the rat pressed the bar... 했어도 상관 없습니다. 어쨌든 필자가 might를 썼으니 그에 맞게 해석을 해주면 됩니다. 3번 선지의 receive는 이게 어디에 걸리냐 인데 내용을 보면 쥐가 우연히 누르든, 호기심에서 누르든 누르고 난 뒤에 그 결과로 음식을 받은 거죠. 그런데 앞에 might가 있었으니까 이 receive도 might에 걸리는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죠. 'press the bar'는 '눌렀을 것이다'라고 추측하는 어투로 처리해 놓고, 뒤에서는 '받았다' (received)로 하면 이상하잖아요.
4번은 it이 가리키는 것, 앞에 나온 명사와 동일한 것, the bar를 가리키니까 it이 맞습니다. 만약에 one 이렇게 나왔으면 틀린 게 되겠죠.
5번, 'Comparing results from rats ⑤ gives the “positive reinforcement” of food for their bar‑pressing behavior with those that were not, or were presented with food at different rates,'에서는 일단 compare라는 동사가 나왔으니까 뒤에 to나 with가 나와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독해를 하면 좋겠죠. 그래야 문장이 눈에 더 잘 들어오니까요. 이 comparing은 분사구문입니다. 분사구문은 문법책에 보면 여러가지 경우로 해석하는 방법을 나누어 놓지만 사실 분사구문은 '합리적으로' '대충' 해석을 하면 됩니다. 합리적이라는 말은 '문맥에 맞게 오해의 여지가 없도록' 한다는 뜻이고 '대충' 한다는 것은 우리말로 경우의 수를 따지는 것이 무의미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말이 되게끔 만들어주면 된다는 뜻입니다. 생략된 접속사를 찾아내서 그에 대응하는 우리말로 옮기는 식으로 하다 보면 어색해질 때가 많아요.
저 같으면 이 문장은 '~비교해보니'로 하겠습니다. '판단의 근거' 같은 거죠. 문장이 약간 복잡한데 일단 compare되는 대상이 둘 나옵니다. 하나는 막대기 누르는 행동에 대해서 음식의 긍정적인 강화를 받은 쥐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아예 받지 못하거나' 또는 '받긴 받았지만 맨 먼저 실험군과 비교해서는 다른 비율로 받은 쥐들 (눌렀는데 어떤 때는 주고 또 어떤 때는 안주고 했다는 얘기죠)
포상 (음식)에 대해서 긍정적인 강화를 받은 쥐들이기 때문에 given이 맞습니다. rats which were given의 꼴인데 which were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의 생략) gives로 본다는 것은 앞의 'comparing results'를 동명사 주어로 본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해석이 엉망진창이 됩니다. 참고로 be given은 그냥 '받다'로 해석합니다.
with 다음의 those는 rats를 가리킵니다. 복수대명사를 받는 those죠. 문법책에서 대명사 파트 찾아보세요. 보통 'those who~'꼴로 많이 쓰여서 '~하는 사람들'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쥐이기 때문에 'those who'라고 안하고 'those that'이라고 했네요. those that were not은 those that were not given이 되겠습니다. 앞에 given이 있으니까 생략을 한 형태네요. 이 부분만 잘 봐도 앞에도 수동태가 와야 하는구나 하고 힌트를 받을 수 있었을 거 같네요.